실업급여, 육아휴직급여, 산재보상… 이 모든 것의 전제조건은 고용보험 가입입니다!
그런데 나는 언제부터 가입했을까? 이력 누락은 없을까?
🔽5분이면 확인 가능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법, 지금부터 정리해드릴게요!🔽
왜 확인해야 할까?
고용보험 가입이력은 단순한 정보 이상입니다.
실업급여 신청, 육아휴직급여, 산전후휴가급여, 취업성공패키지 등 다양한 고용복지 혜택의 기초 자격이 됩니다.
특히 최근 고용환경이 불안정해지면서 내 고용상태를 ‘기록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PC에서 조회하는 방법
🔽1단계.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2단계. 로그인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카카오·네이버 인증 등 선택 가능
3단계. ‘자주 찾는 서비스’ → 자격 이력 내역서 선택
- 상단 메뉴 또는 메인화면의 빠른 메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4단계. ‘고용’ 선택 후 조회
- 보험구분: 고용 / 조회구분: 상용
- 사업장명, 가입일, 상실일 등 이력이 정리된 화면 제공
5단계. 출력 또는 제출
- 실업급여 신청이나 회사 제출용으로는 바로 PDF 또는 인쇄 출력 가능
모바일에서 확인 가능할까?
정식 ‘고용보험 앱’은 없지만, 다음 방식으로 모바일 조회가 가능합니다.
- ① 토탈서비스 모바일 웹 접속
- ② 정부24 앱에서 확인 (일부 이력만 가능)
- ③ 국민비서 구삐 앱 알림 연동
단, 인증 절차가 다소 복잡하거나 화면이 작아 PC 이용을 권장합니다.
이력 누락 시 어떻게 해야 할까?
일용직, 프리랜서, 단기계약직의 경우 사업장에서 고용보험 신고를 누락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 서류를 근거로 고용센터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근로계약서
- 급여 이체 내역
- 출퇴근 기록
- 업무지시 내역 등
특히 3.3% 사업소득 형태로 일하셨더라도, 사실상 근로자였다면 가입대상일 수 있으니 근로형태 재점검이 중요합니다.
Q&A
Q. 회원가입 없이도 조회 가능한가요?
A. 네. 인증서만 있으면 회원가입 없이 조회할 수 있습니다.
Q. 이력 출력은 무료인가요?
A. 네. PDF 저장 및 인쇄 모두 무료로 제공됩니다.
Q. 모바일로는 어디까지 가능하죠?
A. 토탈서비스 모바일 웹으로 PC와 동일한 조회 가능하나, 앱 기반은 일부 제한적입니다.
Q. 고용보험에 미가입되어 있으면 어떻게 하나요?
A. 근로형태와 증빙을 갖고 관할 고용센터에 정정 요청이 가능합니다.
Q. 이력에 표시된 사업장은 어떤 기준인가요?
A. 실제 고용보험이 신고된 사업장 기준이며, 미신고된 경력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정리하며
고용보험은 단순한 복지가 아닌 당신의 권리를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혜택을 받으려면 ‘기록’이 정확해야 하고, 그 확인은 지금 당장 온라인으로도 가능합니다.
몇 분만 투자하면 내 고용안정망이 얼마나 든든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 바로 고용보험 가입이력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