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등록 사실 증명서, 언제 필요할까요?
취업, 비자 갱신, 은행 계좌 개설, 보험 가입까지!
🔽대한민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서류 발급법, 지금 확인하세요!🔽
외국인 등록 사실 증명서란?
이 서류는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합법적으로 등록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등록번호, 체류자격, 체류기간, 주소지, 발급일자 등이 포함되며,
기관 제출용으로 활용됩니다.
사용처 예시:
- 취업처 제출용
- 비자 연장, 재입국 신고
- 은행 계좌 개설, 보험 가입
- 각종 관공서 민원 처리 시
온라인 발급 방법 (정부24)
1단계: 정부24 접속
👉 https://www.gov.kr/portal/main
2단계: 로그인
- 공동인증서, 간편인증(카카오, PASS 등) 사용 가능
- 외국인도 인증 가능 (외국인등록번호 필요)
3단계: 민원 검색
→ 검색창에 ‘외국인 등록 사실증명’ 입력
4단계: 신청 정보 입력
- 발급 목적
- 사용 기관
- 수령 방법: PDF 열람/출력 가능
5단계: 수수료 결제 후 발급
- 발급 수수료: 2,000원
오프라인 발급 방법 (방문)
1. 출입국·외국인청 방문
- 가까운 출입국사무소 또는 외국인종합지원센터 방문
2. 준비물
- 외국인등록증 또는 여권
- 수수료 (현금 또는 카드 결제 가능)
3. 수령 시간
- 접수 후 당일 발급 (5~10분 소요)
4. 대리 수령 시
- 위임장 + 위임인 및 대리인 신분증 필수
주의사항 및 팁
- 온라인 발급은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있어야 가능
- 외국인등록번호가 있어야 발급 가능
- ‘사실증명’은 등록된 주소 기준으로 출력됨
- 본인 외 발급 불가 (대리 발급 시 위임장 필수)
Q&A
Q. 외국인등록증 없이 발급할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외국인등록번호가 있어야 합니다.
Q. PDF 파일로만 받을 수 있나요?
A. 네, 온라인 발급 시 PDF 출력 또는 저장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Q. 외국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나요?
A. 대부분 직접 신청해야 하나, 위임장을 준비하면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
Q. 유효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 기본적으로 발급일 기준의 정보를 담고 있어, 발급 후 3개월 이내 사용을 권장합니다.
Q.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A. 2,000원이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동일합니다.
정리하며
‘외국인 등록 사실 증명서’는 대한민국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인 증빙 문서입니다.
정부24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온라인 발급 가능하고,
출입국사무소에서도 신속히 수령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선택하세요.
서류 한 장이지만, 다양한 행정 절차에서 꼭 필요한 문서이니 미리 준비해두시길 바랍니다.